본문 바로가기

Java 웹 프로그래밍68

그래서 @Retention이 뭔데 이 개발자야 왜 @Retention이 궁금해졌는가 자바 Annotation을 뒤적거리다가 @Retention을 보게 되었는데 각각 Class, Source, Runtime 세가지 종류로 나뉘어 있는걸 보았다. 그리고 이게 도대체 뭔데.. 싶어서 찾아보기 시작했다. 그래서 우선 Annotation이 뭔가요? 어노테이션은 클래스, 메서드 혹은 필드에 선언할 수 있는 일종의 주석같은 것 이라고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. 그러면 Annotation의 역할은 뭔가요? Annotation은 JVM이나 컴파일러에 추가적인 정보, metadata를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. 컴파일 시점, 런타임 시점, 혹은 빌드시에 참고할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. 그럼 본론으로 돌아와서 @Retention이 뭔가요? https://docs.or.. 2023. 11. 26.
org.gradle.api.internal.tasks.testing.TestSuiteExecutionException: Could not execute test class 오류 해결 여정 과제를 진행하며 테스트를 진행하던 중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. org.gradle.api.internal.tasks.testing.TestSuiteExecutionException: Could not execute test class 'baseball.ApplicationTest'. at org.gradle.api.internal.tasks.testing.SuiteTestClassProcessor.processTestClass(SuiteTestClassProcessor.java:54) at java.base@17.0.8.1/jdk.internal.reflect.NativeMethodAccessorImpl.invoke0(Native Method) at java.base@17.0.8.1/jdk.inte.. 2023. 10. 24.
[면접 질문 복기] 2023/10/10 면접 1. DI란 무엇인가 - 의존관계 주입이란, 의존관계에 필요한 것들을 객체 스스로가 정해서 가져가는 것이 아닌 외부에서 결정하고 주입하는 것. 2. DI 주입 시점은 컴파일 단계인가 아니면 런타임 단계인가 - 내 답변 : 컴파일 단계이다. 컴파일 단계에서 빈 생성시 필요한 객체들을 찾아서 주입해준다. - 정담 : 런타임 단계이다. 클래스 모델이나 코드에는 런타임 시점의 의존관계가 드러나 있지 않고 런타임 시점에 컨테이너나 팩토리 같은 제 3의 존재가 결정해준다. 진짜 멍청이...스프링의 기본중의 기본인데 이걸 틀렸다. 이건 긴장해서 틀렸다고 변명도 못한다. 3. DI의 장점은 무엇인가 - 객체간 결합도가 낮아진다. - 테스트가 쉬워진다. - 어째서 테스트가 쉬워지나? - 원하셨을 것 같은 답변 : DI가.. 2023. 10. 10.
[원티드 프리온보딩] 개발하면서 든 생각. 외래키가 꼭 필요한가 고민중인 것 1. 외래키는 분명 장점도 있지만 요즘 개발을 하면서 꽤나 불편하다고 느낀다. 특히 테스트를 작성하면서 불편함이 제일 큰 것 같다. 사실 외래키를 많이 없애는 추세라는 말을 듣기는 했지만 현업에서는 별 문제 없이 사용해왔고 또 익숙하니까 그냥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조금 생각해 볼 때가 된 것 같다. 2023. 10. 9.
728x90